본문 바로가기
Language/Hieroglyphics

고대 이집트 역사 ① 선왕조 시대 (기원전 3150-2686년)

by Vanodif 2015. 4. 12.






※ 피터 A. 클레이턴, 『파라오의 역사』와 위키백과 등을 참고하여 정리한 내용.






서문 : 나일 강의 신왕들

 

고대 이집트의 파라오는 지상에서 신왕(神王)이었으며, 죽으면 자동으로 신이 되었다 절대권력 소유

• 기원전 3100-343년경 사이의 토착 파라오 185 + 페르시아 왕조 + 그리스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(기원전 30년 클레오파트라 7세의 자살로 왕조의 마감)

 

★ 고대 이집트의 왕조

▷ 초기왕조 시대(기원전 3150-2686)

▷ 고왕국 시대(기원전 2686-2181)

▷ 제1중간기(기원전 2181-2040)

▷ 중왕국 시대(기원전 2040-1782)

▷ 제2중간기(기원전 1782-1570)

▷ 신왕국 시대(기원전 1570-1070)

▷ 제3중간기(기원전 1069-525)

▷ 말기왕조 시대(기원전 525-332)

 

★ 예술경향의 변화

▷ 고왕국 파라오들 : 신과 같은 자족감

▷ 중왕국 파라오들 : 수심에 잠긴 얼굴

▷ 신왕국 파라오들 : 자신만만하고 당당한 이목구비

 

 

 

서론 : 고대 이집트의 연대기

 

★ 마네토, 『이집트 역사』(『이집트에 대한 주석』)

▷ 마네토 : 헬리오폴리스 신전의 신관

▷ 오늘날 사용하는 이집트 연대기의 기본 참고자료.

▷ 왕조로 이집트 역사를 나누었다(기원전 3100-343년까지 30왕조)

▷ 전문은 남아있지 않다.

▷ 주요 이집트역사 저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.

☞ 요세푸스, 섹스투스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, 에우세비오스 주교, 조지 수도사(신셀루스) .

 

★ 비문에 기록된 이집트 역사

 → 비문 해독 학자들 : 예수회 사제 아타나시우스 키르허, 장 자크 바르텔르미 사제(타원 속 상형문자들이 왕의 이름이라 주장),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 (카르투슈에서 시작하여 로제타 석의 상형문자를 풀었다).

※ 로제타 석 Rosetta

 

참고: http://napoleon.lindahall.org/rosetta_zoom.shtml

 

▷ 로제타석은 프톨레마이오스 5세 에피파네스 때에 만들어진 검은색 비석이다. 1799 7 15일 나일강의 어귀의 로제타(지금의 아랍어 이름 아르 라쉬드 ar-Rashid)에서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군 장교인 피에르 부샤르가 발견하였다.

여러 부류의 사람들에게 같은 내용을 전하기 위하여 세 가지 언어로 적었다.

사제들을 위하여 이집트 신성문자로 적었고 첫 14줄이다.

신하들을 위하여 이집트 민중문자로 적었고 두 번째 32줄이다.

• 이집트에 사는 그리스어 문화권의 사람들을 위해 고대 그리스어 대문자로 적었고, 마지막의 51줄이다.

▷ 기원전 196년 프톨레마이오스 5세의 재위 9년에 새겨진 것.

▷ 프톨레마이오스 왕이 사제들에게 큰 은혜를 베푼 것을 찬양한다는 내용

 

※ 카르나크 왕의 이름표

▷ 첫 번째 왕-투트모세 3세까지 왕들의 이름.

▷ 제2중간기(13-17왕조)의 작은 군주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.

 

※ 아비도스 왕의 이름표

▷ 세티 1세의 신전 안 회랑 벽에 있다.

▷ 첫 번째 왕-세티 1세까지 76명의 왕명이 카르투슈 안에 적혀 있다.

▷ 제2중간기 왕들의 이름은 없다.

▷ 아멘호테프 3세 이후 18왕조 말기 왕들은 이단과 관련되었다 하여 이름에 카르투슈가 없다.

 

※ 팔레르모 석 Palermo Stone

 

▷ 고대 이집트 연대기

▷ 선왕조 시대 말기 왕들-5왕조 네페리르카레 왕까지 왕의 이름과 간단한 사건이 적혀 있다.

기록된 사건들은 주로 제례, 세금, 기념물 건설, 전쟁과 같은 것들이다.

 

※ 사카라의 왕의 이름표

▷ 사카라에 있는 왕의 서기 투네리의 무덤에서 발견.

▷ 제1왕조 아네지브-람세스2세까지 47개 카르투슈가 적혀있다. 2중간기는 없다.

 

★ 이집트 연대기 : 토리노 파피루스 Torino Papyrus

▷ 토리노 박물관에서 발견되었으나 운송 도중 심하게 훼손되었다.

▷ 기원전 1200년경에 만들어졌으며, 원래 300명이 넘는 왕들의 명단이 있었다.

▷ 신들의 왕조로 시작하여 지상의 왕들로 이어진다.

▷ 장점 : 각 왕의 재위기간을 달과 일 단위까지 정확하게 기록. 이 문서에만 언급된 파라오가 있는가 하면, 다른 문서에서는 의도적으로 삭제되거나, 단명한 군주, 힉소스인 군주들까지 기록되어 있어, 사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. 

 

★ 별을 이용한 연대 확정

▷ 각 왕의 재위기간을 기본으로 하고, 큰개자리인 시리우스 성이 해보다 먼저 뜨는 사건을 출발점으로 해서 앞뒤로 계산한다(1,460년을 주기로 이집트의 보통력과 현대의 천문력이 일치한다→고대 이집트에선 윤년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)

 

 

1장 최초의 파라오들

초기왕조 시대(기원전 3150-2686)

 

여명기(기원전 3150-3050)

 

전갈과 나르메르

▷ 상하이집트를 통일한 최초의 왕 전갈과 나르메르는 동일인물일 수도 있고, 차례로 통치했던 두 왕일 수도 있다.

▷ 상이집트의 히에라콘폴리스의 발굴물을 통해 추측.

 

 

 


※ 나르메르

▷ 마네토가 기록한 메네스와 동일 인물로 추정될 수 있다상하이집트를 통일한 왕. 나르메르 전에 '전갈'이라는 왕이 있었다는 설이 있다.

▷ 호루스 이름은 나르메르이며 "공격하는 메기"라는 뜻이다.

나르메르팔레트(Narmer Palette): 고대 이집트의 기념물 중 역사적 기록이 담긴 최초의 기념물

나르메르의 지팡이 머리: 파라오의 왕위 갱신제인 헤브-세드(Heb-sed)를 기념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. 헤브-세드가 대체적으로 왕이 된 지 30년이 된 것을 기념하는 것으로 보아, 나르메르는 30년 이상을 통치한 것으로 보인다.





1왕조(기원전 3050-2890)


※ 호르-아하

▷ 호루스명 : 호르-아하 (싸우는 매→상이집트 출신임을 보여준다.)

▷ 네브티(nebti) : Men

▷ 선왕(아버지라 여겨지는 나르메르)과 달리 호르-아하는 와제트 여신과 네크베트 여신을 나타네는 네브티 이름을 가졌다. 이는 전대 왕과 달리 통일왕조가 확실하게 수립되었음을 뜻한다.

▷ 아비도스의 목판에 따르면, 호르-아하는 통치 기간 동안 먼 곳을 원정하기도 했고, 누비아의 반란을 진압하기도 했다.

▷ 나일강 삼각주에 자리잡은 사이스에서 전쟁의 여신 네이트를 위한 신전을 건립하였다.

▷ 마네토에 의하면 호르-아하는 62년간 통치했으며, 세트 신의 현신인 하마에 받혀 죽었다고 한다. 그의 뒤는 제르가 계승하였다.

수도인 멤피스를 건설했다.

▷ 아비도스에 있는 B-19호 무덤이 현재 호르-아하의 무덤으로 간주되고 있다. 이 무덤은 주변에서 가장 큰 무덤이지만 파라오를 상징하는 장식은 없다.

 

 

※ 제르

▷ 호루스명 : 제르(구원하는 호루스)

▷ 마네토는 그의 이름을 아토티스라고 전하며, 57년간 왕위에 있었다고 한다.

아비도스의 상아판과 사카라의 목판 : 이 판들에는 상형문자의 초기 형태로 보이는 문자로 글이 적혀 있다.

▷ 사카라의 목판에는 종교행사가 기록되어 있다. 아마도 인간을 희생시키는 종교 의식을 치른 것으로 여겨진다.

▷ 아비도스에 있는 그의 무덤(무덤 O) 주변에는 300여명의 가신의 순장묘가 함께 발견되었다.

 

 

※ 제트(와지)

▷ 호루스명: 제트(호루스 코브라)

▷ 제르와 제트 사이에는 제르의 왕비인 메르네이트가 잠시 섭정한 흔적이 있고, 제르의 후임자인 덴이 어렸을 때도 섭정했을 가능성이 있다.

▷ 제트의 무덤은 아비도스에 있으며(무덤 Z), 174기의 순장묘가 있고, 수준 높은 조각품 묘석이 있다.

 

(메르네이트) : 제르의 왕비로 덴이 어렸을 때 섭정했을 가능성이 있다.

 


※ 덴

▷ 호루스명 : (공격하는 호루스)

▷ 아비도스 왕 목록에 따르면 헤셉티(즉위명이 두 나라의 왕 셈티), 마네토의 연대기에 따르면 20년간 다스린 우사이파이도스에 대응된다. 또한 팔레르모 석에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왕의 14년간의 치세가 나오는데, 이 사건들도 덴과 관련된다..

14년간 다스린 왕의 재위 2년에 "혈거인"을 토벌 (팔라르모석)

▷ 아비도스에 있는 덴과 관련된 유적 중에 나르메르와 같이 몽둥이를 들고 적을 내려치려는 자세를 한 덴의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.

 


※ 아네지브

▷ 호루스명 : 아네지브{그의 심장은 안전하다}

▷ 마네토의 연대기에 따르면 아네지브는 26년간 통치한 미에비도스이다.

▷ 후계자인 세메르케트와 갈등이 있었다.

▷ 아비도스에 위치한 아네지브의 무덤인 '무덤X'는 아비도스의 왕릉 중에서 가장 초라하고 엉성하게 지어져 있다.

 

 

※ 세메르케트

▷ 호루스명 : 세메르케트{사려 깊은 친구}

▷ 마네토에 따르면 그는 18년을 다스렸으며 팔레르모 석에 따르면 9년을 다스렸다

▷ 선왕과 관련된 문제들이 많았고, 왕위를 찬탈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왔다.

▷ 세메르케트의 무덤인 '무덤U'는 선왕에 비해 규모와 건축자재, 기술 면에서 훨씬 뛰어나다.

 

 

※ 카(-헤제트)

▷ 호루스명 : (그의 팔을 들어올렸다)

▷ 재위기간 26?의 이집트 제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

▷ 마네토의 연대기에 따르면 카는 연대기상 제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이자 26년을 다스린 비에네케스??

▷ 카의 치세에 북부에서는 순장 관행이 중단되었다.

▷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카아의 석회암 묘석을 보면, 카아는 상이집트의 상징적인 백관을 쓰고, 호루스의 포옹을 받고 있다.

▷ 아비도스에 있는 카의 무덤(무덤 Q)은 크기도 선왕에 미치지 못하며, 순장묘도 26기밖에 발견되지 않았다.

 

★ 왕조의 변화 = 왕의 가계의 단절

 



제2왕조(기원전 2890-2686)


※ 헤텝세켐위

▷ 호루스명 : 헤텝세켐위(권력 안에서 기뻐한다)
▷ 재위기간 3년
▷ 아비도스 출신


※ 라네브

▷ 호루스명 : 네브레(레는 주인이다)
▷ 재위기간 39년
▷ 여러가지 신앙을 들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.


※ 니네체르

▷ 호루스명 : 니네체르(신과 같다)
▷ 재위기간 47년
▷ 팔레르모 석은 그의 재위 6년부터 26년까지의 여러가지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.
재위 9년에는 아피스 황소의 달리기 축제를 열었다.
재위 13년에 '솀-레'라는 도시와 '북쪽의 집'이 공격을 받았다.
재위 15년에 카세켐위가 탄생하였다.
마네토에 따르면 니네체르는 여성도 왕위를 계승할 수 있음을 선포하였다.


※ 세트-페리브센

▷ 호루스명 : 세케미브(마음이 강하다)
▷ 세트명 : 페리브센(모든 마음의 희망) pr ib sn (그들의 마음의 집?)
▷ 세레크의 상징이 호루스에서 세트로 바뀌었다.→ 세트 숭배자들의 우위
▷ 재위기간 17년


※ 카세켐위

▷ 호루스명 : 카세켐위(두 강력한 자가 나타나다)
▷ 재위기간 17년? 30년?
▷ 종교적 외교관 기질 → 이름에 두 신의 이름을 다 넣음으로써 두 종교 분파의 화해 도모. 세레크에서도 호루스와 세트의 상징동물이 함께 등장한다.
▷ 통일 이후 내내 비주류였던 하이집트 지역의 반란을 진압하여 선왕 시대의 혼란을 마무리지었다.
▷ 카세켐위에게는 네마타프라는 왕비가 있었다.
▷ 무덤은 아비도스에 있는데, 당시로서는 독특하게 길쭉한 사다리꼴 모양을 하고 있다. 중심에 있는 파라오의 현실에는 보물로 만들어진 왕의 홀과 황금잎 뚜껑이 덮인 돌 단지가 있는데, 4500년이 넘은 뒤에 발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도굴당하지 않았다
▷ 카세켐위의 무덤은 지금까지 발견된 석조 구조물 중 가장 오래된 것들 중 하나이다.